손금을 연구하는 수상학은 서양에서 더 많이 알려졌으며 오랜 시간에 걸친 임상 결과 70% 이상의 정확도를 보인다.
미국과 일본, 영국, 프랑스에서는 수상의 과학적 근거를 인정하고 범죄 수사에 활용하고 있다.
흔히 손금을 수상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. 사람 생긴 모양이 천태만상이듯 손도 마찬가지이다. 눈, 코, 입, 귀 등 얼굴에서 관상을 보듯 손의 전반적인 것을 본다. 손금은 물론 손의 크기와 모양 색, 온도, 손가락 굵기와 길이, 지문 등 손에 담긴 많은 정보를 종합적을 살핀다. 수상을 통하여 수명, 건강, 사고, 성격, 직업, 재물, 결혼, 애정 등이 어떻게 진행되어 가는지를 알 수 있다.
전세계 수 억 인구 중에 지문이 일치하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. 똑같은 손금을 가진 사람 역시 단 한 명도 없다.
수상은 변한다. 노력 여하에 따라 손금이 변하고 손금이 변하면 인생이 달라진다.
(손을 펴서 힘껏 뒤로 젖혔을 때 휘어지는 모양)
· 융통성이 있고 나긋나긋하다 다정다감하고 사교적이다.
· 사람들에게 호감을 사는 스타일로 누구와도 쉽게 친해질 수 있다.
· 유행에 민감하다.
· 멋을 알고 예술을 좋아한다.
· 개방적이다.
· 노력이 부족하다.
· 변덕이 심해 믿음이 약해 보이는 게 단점이다.
· 영업부서 등 사람을 자주 만나는 분야의 일이 잘 맞는다.
· 손이 뻣뻣해서 뒤로 잘 젖혀지지 않거나 손바닥 안쪽으로 굽은 손은 융통성이 없다.
· 원리원칙 주의자이다.
· 보수적이다.
· 경제관념이 알뜰하다.
· 지나치게 알뜰하면 자린고비 소리를 듣게 된다.
· 근면하고 성실하다.
· 일을 꼼꼼하게 처리한다.
· 손해 보는 일은 하지 않는다.
· 고지식해서 재미가 없으나 믿음직하다.
· 화려하지 않고 변함이 없다.
· 가정주부일 경우 알뜰한 살림꾼이며 현모양처이다.
· 고집이 세고 융통성이 없어서 한번 고생길로 들어서면 헤어나기 힘든 게 단점이다.
· 바람기가 많다.